이직을 하거나 다른 업무를 수행하다 보면 경력증명서나 재직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서류는 회사에 요청하는 것이 가장 쉬울 수 있지만, 퇴사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경우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요청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경력증명서나 재직증명서 발급방법과 대체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직접 쉽게 받아보실 수 있으니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경력증명서, 재직증명서 발급 방법
오늘 이 과정을 알아보시려면 먼저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야 합니다. 검색을 통해 쉽게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 위 화면이 보이는 페이지로 이동하셨다면 전자민원서비스를 클릭하여 들어가시면 됩니다.
국민연금 전자민원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시면, 중간에 자주 방문하는 서비스 중 가입증명서 발급 메뉴를 클릭하세요. 여기에서는 가입내역을 확인하고, 국민연금과 관련된 다양한 업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진행하려면 개인적으로 로그인해야 합니다. 별도의 계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간편인증, 공인인증서, 네이버, 카카오페이 등을 통해 로그인하시면 민원처리가 가능합니다. 본인에게 편리한 방법을 선택하여 진행하시면 됩니다. 개인신고 서비스에 들어오시면 모든 항목이 먼저 보입니다. 스크롤을 내려서 찾아보셔도 되지만, 상단 탭에서 증명서 발급 등을 클릭하시면 더욱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증명서 등 발급 카테고리로 이동하시면, 원하시는 국민연금 가입증명서 메뉴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또는 영어로 발급 가능합니다. 인증서를 받으시려면 개인정보 수집 등 항목에 동의하셔야 합니다. 어떤 항목을 수집하고 사용하는지에 대한 안내가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읽어보시고 동의하셔도 됩니다. 동의를 완료하신 후, 다음 단계로 진행하시면 국민연금 가입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격기간, 가입자 유형, 업체명(지역) 등의 항목이 있어 확인 후 전체 내역을 인쇄하거나, 체크박스를 선택해 원하는 내용만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두 가지 옵션인 프린터 발급과 팩스 전송을 살펴보겠습니다. . 프린터 발급을 클릭하면 인쇄 옵션 창이 열립니다. 발급 목적이 본인 확인용인지, 공공기관, 금융기관 등에 제출해야 하는지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확인 버튼이 보이지 않을 경우 안내에 따라 F11을 누르시면 됩니다. 이후 국민연금 가입자 등록증이 나타나면 내용을 확인하신 후 좌측 상단의 인쇄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인쇄하시거나 PDF 파일로 저장하실 수 있습니다. 팩스 보내기 버튼을 누르면 팩스 옵션이 나오며, 번호, 확인, 목적을 선택하여 진행하시면 됩니다. 팩스로 발급받은 경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주민등록번호 뒤 6자리에 별표를 표시합니다. 경력증명서나 재직증명서 발급방법에 대한 요약입니다. 귀사에서 발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오늘 배운 것처럼 일반 국민연금증명서를 온라인으로 발급하여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