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여날이다… 바로 단계별 매수 실행! 매달 50만원의 연금저축 주식계좌 주말 급여날(25일) 전에 입금한 급여 중 50만원을 미래에셋 연금계좌로 입금하는 용기 국내 상장 미국 ETF(S&P500, NASDAQ, Dow Jones)로 옮겨 리밸런싱하는 프로젝트도 변동성 큰 주식시장에 매수 가능 금액이 줄어 정체. (돈이 있었으면 매일매일 모아서 사고 싶을 텐데 욕심이겠죠.) 2024년 8월 23일(금) 급여로 연금계좌에 50만원 입금 입금 생각없이 성급하게 매수 진행하지 않기로 해서 매수금액을 동시 매수매도가격보다 4~5단계 낮게 설정해서 50만원 중 총 209,560원을 매수했습니다. 타미당과 솔미당 매수희망금액을 설정했는데 체결이 안됐습니다. (파월 의장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명확한 발언으로 미국 증시가 급등했습니다. 금요일에 예치금 전액을 매수하는 게 가장 좋은 선택이었을 텐데요…) S&P500, 나스닥. 일관성이 중요하다는 걸 단시간에 깨달았습니다. ‘R공포’는 결국 단기적 일시적 조정에 그쳤습니다. 결국 이때 매수한 용감한 개인투자자들의 수익은 매우 좋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8월4주차 연금저축은 TR(배당금·분배금 없는 재투자) 상품으로 운용보수가 가장 낮은 KODEX를 선택하여 추가 매수했습니다. #8월23일 국내 상장 미국 ETF 이번에는 KODEX S&P500 TR, KODEX Nasdaq TR이 특징이며, 배당금(분배금)을 지급하는 #미국 지수추적 ETF 중에서는 획기적인(?) 운용보수 인하로 투자자에게 유리한 상품이 되었습니다. #RISEETF RISE 미국 ETF 운용보수 인하 소식 KB자산운용이 RISE라는 새로운 ETF 상품을 출시합니다. 개인 이메일을 통해 #ETFfeeReduction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0.01%라고 적혀 있지만 실제 ETF의 총 수수료는 계산해야 한다는 건 이미 알고 계시죠? 운용사에서 말하는 (운용수수료) 외에 투자자들이 내는 비용은 총수수료 + 기타비용 + 매매중개수수료 = 총비용입니다. 출처 ETFLAB#국내 상장 미국 ETF 수수료 비교 역사상 가장 위대한 투자자로 꼽히는 워런 버핏조차 헤지펀드보다는 S&P500에 투자하고 자기개발을 위한 시간을 갖는 것이 최선이라고 했으니, 우선 S&P500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ETFLABTIGER – 미래에셋글로벌인베스트먼트 RISE – KB자산운용 ACE – 한국투자증권 RISE(0.15%) > ACE(0.17%) > TIGER(0.18%) 출처 ETFLAB 지난달(7월24일) 최저 수준이었는데, 0.01% 추가 하락했습니다. 다른 자산운용사에 비하면 갭이 조금 더 큰 셈입니다. (사실 이 차이가 워낙 작아서 투자수익률이 더 크게 느껴지지만, 장기저축투자자(소비비용)가 가장 낮은 관리수수료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이라는 걸 잊지 말아야 합니다.) 저는 월급저축 매수로 받을 수 있는 첫 ‘배당금’인 RISE S&P500 2주만 포함시켰습니다. 물론 지난주 초에 매수했다면 1주 기준으로 가장 낮은 타이밍이었겠지만, 이는 따라올 수 없었습니다.(급여가 없었기 때문에 총알이 없는 상황에서 후회보다는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꾸준히 모으기로 마음먹은 #S&P500TR 상품은 금요일에 4주치 매수해서 수량을 54주에서 58주로 늘렸습니다. #S&P500ETF 수수료 비교(2024년 8월 기준) 출처: ETFLAB 가장 낮은 상품은 RISE US S&P500 0.15%로, 배당금(분배금)을 지급합니다. 헤지 상품의 총 비용 #USETFtotalCost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환율이 극적으로 낮은 수준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