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를 막아라! 산업재해의 정의 및 예방활동

안녕하세요. 안단테 12기 송다영 입니다! 다들 7월 잘 보내고 계시나요? 안단테 12번째 멤버로서 첫 글을 쓰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여러분의 안전을 위해 어떤 글을 준비해야 할지 고민하던 중 제가 선택한 주제는 우리 생활과 밀접한 산업재해였습니다!

출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산업재해의 정의 및 유형) 산업재해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먼저 사전적 정의를 가져왔습니다. 산업재해란 노동과정 중 작업환경이나 작업행위 등 업무와 관련된 사유로 근로자에게 발생한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말합니다. 산업재해는 산업활동 중에 발생한 사고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를 초래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최악의 경우 근로자의 생명을 앗아가는 산업재해, 일반 국민에게 피해를 주는 공공재해, 산업시설 등을 산업재해로 인한 손실로 분류합니다. 산업재해 유형은 현재 종사하고 있는 업종에 따라 다릅니다. 업종별 산업재해 사례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내 (통합자료실)-(재난사례)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재해사례 확인하러 가기 https://www.kosha.or.kr /kosha/data/machine.do 산업재해 종류• 산업재해• 근무시간 중 재해• 휴식시간 중 재해• 자연재해로 인한 사고• 외부사고 근무시간• 출퇴근길 사고• 출장 중 사고• 행사 중 사고 • 제3자에 의한 사고 • 치료 중 사고 등 https://www.youtube.com/watch?v=YNtM3KAMmLA 청소년 산재사망사건, 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어린 학생들 #유익한직업2(산업재해사례)산업재해라는 단어를 접했을 때 별 영향이 없을 수도 있으니 실제 사례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 산업재해는 노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말하며, 근로자라면 누구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산업재해의 심각성을 예능에서도 다뤘으며, 사고 예방을 위해 시민들의 관심과 적절한 근무환경을 촉구했습니다. tvN에 반영된 유용한 일자리의 경우 산재 사망자 가운데 부적절한 근무환경과 청소년의 안전불감증이 지적됐다. 7월 장마철이 예정되어 있는 만큼, 더 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각 작업장 환경에 맞는 주요 안전수칙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마철에는 폭우로 인한 침수, 경사면, 산사태 등의 사고나 습한 날씨로 인한 감전이나 질식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또한, 평균 기온이 상승하여 온열질환 등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업장에서는 사고 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작업장 환경을 개선할 것을 촉구합니다. 이에 대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산업안전감독관 등 현장점검팀을 배치해 작업장 주변 환경과 기계·기구·장비·설비의 안전대책 등을 점검할 것을 권고하고, 장마와 폭염에 대비해 조직을 개편한다. (산업재해예방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노력) 앞서 소개한 사례와 같이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근로자 입장에서는 산업재해로 인해 생활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작업장에서의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안전수칙을 통해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산업재해 예방 노력의 대표적인 예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필수 안전 규칙(IECR)입니다.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필수 안전 규칙(IECR)은 식별(Identify), 제거(Eliminate), 제어(Control), 대응(Response)의 약어로 구성된 안전 규칙입니다.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아 발생하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사업장에서 자발적으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기본 안전수칙을 나열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필수안전수칙(IECR)의 4가지 주요 사항을 나열하고, 반드시 기억해야 할 점을 강조하며 오늘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1. 위험요인 식별(Identify) 작업장에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식별하고, 위험요인 목록을 작성합니다. 2. 사고 위험을 제거합니다. 작업자가 사고의 원인이 된다고 생각되는 요인에 대해 개선을 요구할 수 있도록 담당자를 지정하고, 안전조치에 이상이 없는지 항상 점검하도록 하십시오. 3. 잠재위험 관리(Control) 사고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위험요인 관리책임자를 지정하고, 작업 전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개별 위험요인에 대해 충분히 교육하고 숙지하도록 한다. 4.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 (대응) 개별 대피 지시. 소속 부서의 역할을 숙지하고, 사고 발생 시 긴급 대피 및 관계 기관 신고 등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합니다. 첫 글이라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달에는 더 좋은 글로 찾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