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임기가 시작되는 세계보건기구(WHO) 집행이사회 2개국 중 하나로 한국이 선정됐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제74차 WHO 서태평양지역위원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라 그는 내년 5월 브루나이에서 임기를 시작해 향후 3년간 WHO의 예산과 전략 수립, 보건 문제 대응 등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WHO 집행이사회는 임기 3년의 34명의 집행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서태평양 지역에는 일본, 말레이시아, 중국, 미크로네시아, 호주 등 5개국이 배정되어 있다. 내년 5월 일본과 말레이시아의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한국 외에도 뉴질랜드, 브루나이 등도 이사회 진출 의사를 밝혔다. 그 결과 회원국 간 논의를 거쳐 한국과 브루나이가 WHO 집행이사국이 되기로 합의했다. 내년 5월로 예정된 제77차 세계보건총회에서 한국의 WHO 집행이사국 진출이 최종 확정되면 한국은 WHO에 가입하게 된다. 집행이사회에 진출한 것은 이번이 8번째이며, 사임한 지 1년 만에 다시 진출한 것은 처음이다. 아울러 그는 2027년 5월 임기가 만료될 때까지 서태평양 지역을 대표해 WHO의 정책 결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집행이사회는 보건 분야 전문가를 전무이사로 선임하고, 사무총장은 매년 한 명의 회원을 임명합니다. 월간 및 5월 정기 이사회에 참석합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 WHO 집행이사회나 총회에서 WHO의 예산 및 결산, 주요 사업 전략, 지역 종합 계획 등을 수립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한국이 국제 보건 문제를 다루고 대응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추구하는 것입니다. 이는 가치와 우선순위가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고, 정부 정책과의 연계 및 협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번 지역위원회 수석대표로 참여한 이호열 보건복지부 국제협력관은 “이번 상임이사 선임은 향후 WHO 현안 대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서태평양 지역의 대표로서 전략수립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조언해 달라는 국제사회의 요청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우리나라가 서태평양 지역을 포함한 모든 인류의 보편적인 건강권을 보장하는 WHO 집행이사국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미래 보건위기에 철저히 대비하고 대응한다.” ※ 자료출처 ※
한국이 2024년 세계보건기구(WHO) 집행이사회 이사국으로 선임됐다. 5월부터 임기가 시작되는 세계보건기구(WHO) 집행이사회의 두 국가 중 하나로 한국이 임명됐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제74차 WHO 서태평양지역위원회에서 이 같은 발표가 나왔다고 19일 밝혔다. 이에 따라 그는 내년 5월 브루나이에서 임기를 시작해 향후 3년간 WHO 예산과 전략 수립, 보건 현안 대응 등을 맡게 된다.